“현실 반영한 예산으로 즉각 재편성해야”… 500명 집결해 결의대회 열어
표진수 기자 pjs@newsone.co.kr
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경자연)가 경기도의 장애인자립생활 지원 예산 삭감을 강하게 규탄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자연은 11월 21일 낮 12시, 경기도청 광교 신청사 앞에서 ‘경기도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예산 현실화 투쟁결의대회’를 열고 2026년도 예산안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이날 현장에는 경자연 소속 활동가와 전국 각 지역 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활동가 약 500명이 집결했다. 참가자들은 지난 11월 5일 공개된 2026년도 경기도 예산안에서 55개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대한 도비 지원예산이 대폭 삭감된 데 대해 책임을 분명히 묻고, 김동연 도지사가 직접 시정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결의대회 사회를 맡은 경자연 권리보장위원장 이민선 위원장은 “2026년도 자립생활지원뿐 아니라 장애인가족지원, 장애인쉼터 등 복지 전 분야 예산이 무분별하게 삭감됐다”며 “이는 장애인을 경기도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퇴행적 조치이자 복지를 10년 전으로 되돌리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경자연 송기태 대표 역시 “경기도는 60만 장애인의 삶을 예산 한 칸으로 삭제했다”며 “반인권적 예산 삭감을 즉각 중단하고 현실을 반영한 정당한 예산을 다시 편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진형식 상임대표는 “장애인 자립생활은 시혜가 아닌 절대적 권리”라며 “경기도가 이를 외면한다면 260만 장애인과 함께 전국적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현장에서는 타 지역 활동가들의 지지 발언도 이어졌다. 한울타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윤차원 센터장은 “이번 예산 기조는 시대를 역행하는 비겁하고 무능한 조치”라고 지적했으며, 일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 김재룡 센터장은 “자립생활체험홈 예산까지 삭감돼 장애인을 다시 시설로 내모는 꼴”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결의대회의 마지막에는 성명서가 낭독됐다. 참가자들은 복지예산 삭감이라는 ‘가장 약자를 향한 폭거’를 즉시 중단하고 예산을 원상회복할 것을 요구했으며, 김동연 지사의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도 함께 촉구했다. 이후 참가자 500여 명은 구호를 외치며 경기도청과 도의회 주변을 행진해 장애인의 절박한 심정을 시민들에게 알렸다. 행진 중 잠시 질서유지선을 벗어나 교통이 혼잡해지기도 했지만, 이는 예산 삭감의 심각성을 호소하기 위한 절박한 행동이었다고 강조했다.
경자연은 “예산 삭감 철회를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며 “향후 상황에 따라 더욱 강력한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