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민들과 직접 마주하다… 중부권 시도민 토론회 성료

부산·경남 행정통합, 시민들과 직접 마주하다… 중부권 시도민 토론회 성료

공유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 속에서 행정통합 방향성 모색… 15일 동부권 토론회 예정

[부산]이근대 기자 lgd@newsone.co.kr

“부산과 경남이 하나가 된다면, 무엇을 얻고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지난 9일 오후, 부산시의회 대회의실. 100여 석의 좌석이 거의 가득 찬 가운데, ‘부산·경남 행정통합 중부권 시도민 토론회’가 열렸다. 정책 전문가와 시민이 한자리에 모여, 지역의 미래를 결정할 중요한 주제—행정통합—을 놓고 진지한 논의를 이어갔다. 행사장을 찾은 시민들의 표정에는 기대와 우려가 뒤섞여 있었고, 연단에 선 토론자들의 발언 하나하나에 고개를 끄덕이거나 메모하는 모습이 이어졌다.

이날 토론회는 부산시와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공동 주최한 자리로, 시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의 장으로 마련됐다. 앞서 지난 8일에는 경남 김해 가야대 회의실에서 공론화위원회 제8차 회의가 열려 중간보고와 균형발전 전략에 대한 논의가 사전에 이뤄졌다.

본격적인 토론회는 박재율 위원회 대변인의 주제발표로 시작됐다. 그는 “행정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의 조정이 아니라, 지역의 생존과 경쟁력을 위한 전략”이라며 그간의 추진 경과와 미래 청사진을 설명했다.

뒤이어 전호환 부산대 전 총장이 좌장을 맡은 지정토론이 이어졌다.
김경우 부산대 교수는 “부산과 경남이 각각의 한계를 뛰어넘고, 공동의 성장 동력을 갖기 위해선 통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김정환 부산 YWCA 사무총장은 “시민들과의 소통 없이는 어떤 계획도 성공할 수 없다”며 공론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송우현 시의원은 “행정통합이 국가 정책과 연계돼야 한다”며 추진 체계의 정비를, 하혜수 경북대 교수는 “찬성과 반대 모두 논리적 기반을 갖추고 있기에, 감정적 대립보다는 실증적 검토가 우선”이라고 조언했다.

현장에서는 일반 시민들의 목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 마이크를 든 한 시민은 “정책의 시작은 시민이다. 통합 이후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통합 과정에서 우리가 어떤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지도 분명히 알려달라”고 발언해 박수를 받았다.

한편 공론화위원회는 이달 말까지 부산·경남 각 권역별로 시도민 토론회를 이어간다. 부산은 15일 여성회관(동부권), 22일 부산도서관(서부권)에서, 경남은 11일 진주, 17일 통영, 25일 창원에서 각각 개최될 예정이다.

전호환 공동위원장은 “이번 토론회는 각계각층의 생각을 가감 없이 듣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남은 토론회에서도 활발한 의견을 모아, 실효성 있는 행정통합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과 경남이 미래를 함께 설계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과 방향성은 시민의 참여 속에서 점차 구체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