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군 공항 이전은 민심 수용부터”…무안군민, 광주 군 공항 이전 반대 건의

“군 공항 이전은 민심 수용부터”…무안군민, 광주 군 공항 이전 반대 건의

공유

무안 범군민대책위,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에 공식 건의문 전달

이소미 기자 lsm@newsone.so.kr

광주 군 공항의 무안 이전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무안지역 주민들이 “일방적인 이전 추진은 갈등만 부를 뿐”이라며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했다.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최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에게 공식 건의문을 전달하고, 군 공항 이전에 대한 정책 방향 전환과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공모 방식 추진을 요청했다.

“약속은 저버리고 피해는 전가”…무안군민의 누적된 반발

건의문에 따르면, 무안국제공항은 2007년 개항 당시 ‘서남권 항공 중심지’로서 큰 기대를 모았으나, 광주광역시가 군 공항 이전과 국제선 이전 시기를 연계하며 공항 활성화에 제동이 걸렸다는 지적이 담겼다.

특히 대책위는 “광주시가 2018년 무안국제공항으로의 국내선 이전을 약속한 3자 협약을 저버린 채, 군 공항을 무안에 일방적으로 이전하려 한다”며 “이는 지역이기주의의 극치이자, 주민 피해를 무시한 처사”라고 반발했다.

“공항과 군 시설은 별개로 접근해야”…민심은 반대

대책위는 군 공항 이전이 단순한 군사시설 이전이 아닌, 평생 이어질 소음 피해와 지역발전 저해로 직결되는 문제라며, 별도의 정책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KBS의 2025년 2월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 “무안군민 60%가 민·군 공항 이전에 반대하고 있으며, 광주시민 다수도 국내선 이전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민심 수용 없는 이전은 안 돼…공모 방식 추진해야”

대책위는 건의문을 통해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민·군 공항 통합 이전 추진은 주민 뜻과 동떨어진 공약”이라며, “민간 공항 활성화와 군 공항 이전은 별도로 다뤄야 하며, 군 공항 이전은 반드시 주민 수용성을 최우선으로 반영해 공모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국가의 책임 아래 절차적 정당성을 갖춘 이전 방식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하며, 무안군민의 강력한 반대 의사를 다시 한번 분명히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