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인 칼럼 ‘코로나바이러스’확산으로 관광산업 절체정명의 위기

‘코로나바이러스’확산으로 관광산업 절체정명의 위기

공유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신종 코로나)이 발생한 지 두 달여 만에 누적 사망자가 420명을 넘어서면서 공포 심리를 가중시키고 있다. 중국 전역에서 확진자는 하루 전보다 3천235명, 사망자는 64명이 늘었다. 일일 사망자 수가 60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달 20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공식으로 통계를 발표한 이래 처음이다. 현재까지 확진 환자와 밀접 접촉한 사람 수는 22만1천15명이며 이 가운데 17만1천29명이 의료 관찰을 받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까지 전면에 나서 ‘전염병과 전쟁’을 선포하고 국가 총동원령을 내려 모든 물자를 신종 코로나 예방 통제에 쏟아 붓고 있지만, 확산세는 더욱 커지고 있어 전 세계가 두려움으로 움츠러들 수밖에 없다.

게다가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월 30일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긴급위원회를 열어 사상 여섯 번째로 국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1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긴급 위원회가 권고안을 냈고 중국을 직접 다녀오기도 했던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이 최종 선포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WHO는 교역과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권고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공식 명칭이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인 국제 비상사태는 2005년 정비된 WHO의 국제보건규정(IHR)에 따라 질병이 국제적으로 퍼져서 다른 나라의 공중 보건에 위험이 된다고 판단될 때 선포된다. WHO는 그동안 경제적인 타격과 관광 등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신중하게 PHEIC를 선포해 왔다. 2009년 인플루엔자, 2014년 야생형 폴리오, 서아프리카 에볼라, 2016년 아메리카 지카 바이러스, 2018년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 2019년 우한 코로나바이러스 등 지금까지 여섯 차례 국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문제는 이로 인해 경제 파탄의 우려가 커진다는 것이다. 중국 경제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오고 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개발연구원 추정에 따르면 지난 2003년 사스로 우리나라 연간 경제성장률은 0.25%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메르스는 최초 발병부터 소멸까지 69일이 걸렸는데 연간 경제성장률이 0.2~0.3%포인트 하락했다. 사람들이 외출을 꺼리면서 그 해 6월 백화점 매출은 한 달 전보다 12.6% 급감했고 대형마트도 매출이 14.7% 하락하는 등 유통업체가 직격탄을 맞았다. 특히, 국내 관광산업 피해 추정 규모도 2조 6천 500억~3조4천억 원에 달했다. 외국인 관광객은 지난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1년 전보다 153만3천 명 감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가 중국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이 사스 때보다 더 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 관광산업은 직접 타격을 받고 있다. 특별법으로 제주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무사증 입국제가 지난 2월 4일 0시를 기해 일시적으로 중단되자 4일 중국에서 출발해 제주에 도착한 항공기 5편에는 모두 55명만이 탑승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에 무사증 제도가 중지되기 전날인 3일 중국발 제주행 항공기 탑승객 수는 총 562명이었다. 지자체에서 추진하는 각종 관광 축제 행사도 대부분 취소되고 있다. 포항·경주 등 경북의 정월 대보름 행사가 취소되고 울진·영덕의 대게축제와 곳곳의 봄 축제가 취소 위기에 처했다. 특히 경주의 벚꽃마라톤 대회에는 중국 이창시에서 단체관광객이 처음으로 참여할 예정이었지만, 이번 사태로 무산됐다. 부산시 오거돈 시장은 지난 1월 30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개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책 종합 점검회의’에서  “지난 메르스 때만 해도 전국적으로 약 3조 원 정도의 관광산업 피해가 있었다”며 “이번 사태로 또다시 관광시장이 위축되고 중국 단체관광객 유치 등에 차질이 생기면 지역 경제의 충격이 매우 심각할 것”이라고 밝히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대책을 마련해 줄 것 등을 건의했다.

올 봄 축제로 지역 경기침체에 활기를 불어 넣겠다는 야심찬 계획들이 수포로 돌아간 것이다. 정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관광산업은 지역 활성화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범정부 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한 이유다. 또한 성숙한 시민의식도 요구된다. 공포는 괴담을 만들고 불신을 조장하기도 한다. 유언비어로 인해 국민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해선 안 된다.

전병열 편집인 chairman@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