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현장 정부, 지열발전소와 포항지진 관계 정밀 조사

정부, 지열발전소와 포항지진 관계 정밀 조사

공유

포항 흥해읍 지열발전소가 지난 11월 15일 발생한 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가 발전소 건설 공사를 중단했다.

정종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총괄조정관은 11월 24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국제전문가로 조사단을 구성해 정밀조사할 계획”이라며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열발전소 건설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열발전소가 지진에 영향을 미쳤다면 소송 등 대응에 나서겠다고 포항시가 밝히면서 논란이 커지자 정부가 일단 건설 공사를 보류한 것이다. 지열발전소는 지하 약 4.2㎞ 지점에 구멍 두 개를 뚫어 물을 주입한 뒤 데워진 수증기로 터빈을 돌리는 방식인데 이 과정에서 지반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앞서 제기됐다.

학계는 포항 지진이 지열발전소로 인한 것이라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포항 지진 긴급 포럼’에서 강태섭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통계적으로 볼 때 유발지진의 규모는 투입되는 물의 양과 비례한다”며 “5.4 규모 지진이 일어나려면 수백만t의 물이 주입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열발전소 운영사 넥스지오에 따르면 발전소에 주입된 물은 약 1만2,800t에 불과하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도 “포항 발전소는 주입했던 물을 다른 구멍으로 다시 빼내는 방식”이라며 “압력을 조절하기 쉬워 큰 지진을 유발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장찬동 충남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는 “물 주입 중단 후 2개월 뒤에 지진이 발생했는데 일반적이진 않은 패턴”이라고 말했다.

지반이 물렁해지는 ‘액상화 현상’에 대한 대략적인 조사 결과는 12월 발표 예정이며, 전담조사팀은 10곳에 대한 토양 시추를 11월 26일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정밀검사 결과 발표는 한 달여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대본은 위험성이 확인되면 즉각 조치할 방침이다. 또 민간주택 1차 안전점검 결과 피해가 우려되는 1,342곳 중 건물 출입을 제한하는 ‘위험’은 26곳, 출입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한 ‘사용제한’은 56곳으로 나타났다.

고경희 기자 ggh@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