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군, 청년 유입·정주 여건 강화 중심으로 지방소멸대응기금 전략사업 본격화
이소미 기자 lsm@newsone.so.kr
전남 보성군이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전략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보성군은 총 332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투입해 청년 유입과 정주 여건 확충, 관광 콘텐츠 개발 등 다각적인 분야에서 지역 활력 회복에 나섰다.
김철우 보성군수는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현장을 중심으로 중장기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며 “군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실천하는 전략… 지역 맞춤형 사업 점검
군은 지난 7월 7일부터 22일까지 보성읍 봉산리, 회천면 율포리, 제암산자연휴양림 등 주요 전략사업 현장을 점검하며 사업의 추진 현황과 효과를 면밀히 살폈다. 이번 현장 점검은 단순한 공정률 확인을 넘어 청년 정착, 관광 활성화, 문화 기반 조성 등 전략별 시너지 효과를 점검하고,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해법을 찾기 위한 실질적인 행보였다.
청년과 관광객이 ‘머무는 지역’으로… 체류형 인프라 확충
보성군은 지역을 ‘체류형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간 전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표적으로 회천면 율포해변 일원에서 추진 중인 **‘보성 프롬나드 조성사업’**은 해안선을 따라 문화공간과 청년 창업 거리를 조성해 커뮤니티 거점으로 탈바꿈 중이다.
오는 9월 개통 예정인 **전남 남해선 KTX-이음(목포~보성)**도 보성과 수도권 및 주요 도시 간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광 및 정주 인프라 확대에 탄력을 더할 전망이다.
‘지역특화 관광 기반 조성사업’은 봉산리와 영천리 일원을 중심으로 야간경관과 캠핑장을 조성, 계절과 시간대에 관계없이 체험 가능한 관광지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특히, 제암산자연휴양림 내 준공을 마친 **‘녹차마을 워케이션 조성사업’**은 자연과 업무를 결합한 공간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과 생활인구 유입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청년이 정착하고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 실현
청년 정착을 위한 핵심 조건인 돌봄과 문화 기반 확충에도 힘을 쏟고 있다. 벌교읍 회정리에 추진 중인 **‘공공형 돌봄 환경 조성사업’**은 복합문화센터 내 북카페, 조리실습실, 체육시설 등 가족 친화형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해 실질적인 정주 환경 개선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판소리 전수교육관을 리모델링해 청년과 주민이 함께 활용하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하는 **‘문화꿈나래 공유거점 조성사업’**도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며 정착 유인을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제2 조성농공단지 조성사업’**을 통해 제조업 기반 창업기업을 유치하고, 장기적인 지역 고용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산업 기반 강화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속 가능한 지역 회복, 현장 중심으로 답 찾는다
보성군은 2022년부터 확보한 지방소멸대응기금을 바탕으로 ▲정주 여건 개선 ▲문화 기반 조성 ▲관광 콘텐츠 개발 ▲산업단지 조성 등 지역 맞춤형 전략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군은 앞으로도 “사람이 돌아오는 보성” 실현을 위해 지속 가능한 해법을 현장에서 모색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