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군 기자 jbg@newsone.co.kr
청주시가 한국전력공사와 손잡고 1인 가구의 고독사 예방에 나선다. 전력과 통신 데이터를 활용해 생활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감지해 신속히 대응하는 ‘안부살핌서비스’를 공동 운영하기로 했다.
청주시는 21일 임시청사 직지실에서 한국전력공사 충북본부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AI 기반 복지안전망 구축을 위한 시범 사업을 오는 5월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센서 없이 전력 데이터로 ‘이상 징후’ 감지
이번 협약은 별도의 기기 설치 없이 이미 구축된 한전의 원격 계량기(AMI) 데이터를 활용해, 전력 및 통신 사용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생활 리듬의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즉시 청주시에 알림이 전달된다.
청주시는 알림을 받은 즉시 대상자에게 연락하거나 방문을 통해 안부를 확인하고, 필요시 복지 자원을 연계해 위험군에 대한 실질적인 보호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복지·기술 융합으로 ‘데이터 기반 복지모델’ 실현
이번 시범 사업은 한전의 원격 계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1인가구 140세대를 대상으로 2025년 4월까지 1년간 운영된다. 청주시는 사회적 고립 위험이 큰 계층을 우선 선정, 실질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확대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이중호 한전 충북본부장은 “데이터가 복지와 결합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사례가 되어 기쁘다”면서, “청주시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전국 확산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범석 청주시장은 “기술을 활용한 복지안전망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1인가구 고독사 예방이라는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