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슬라이드 길 잃은 부산 관광, 스쳐가는 관광객

길 잃은 부산 관광, 스쳐가는 관광객

공유

머무르고 싶고, 다시 찾는 관광 정책 아쉬워

올해 상반기까지 방한한 외국인 수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722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했다. 특히 같은 기간 동안 중국을 제외한 외국인 방한객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2% 증가한 505만 명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다.

부산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도 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4월 이후 매달 감소세를 보이던 외국인 관광객 수가 반등했다. 전 세계 여행 가격비교사이트 스카이스캐너는 올여름 7~8월 왕복 항공권 검색량 증가도시 1위로 부산이 차지했고, 부산행 항공권 검색량이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부산 관광객 수가 늘어날 때 부산시는 관광객 정착에 힘을 써야 한다. 문제는 민선7기 부산시의 관광 전략이 되레 후퇴해 ‘뒷걸음질 치는 관광’이 됐다는 점이다.

호텔 객실부산시 관광 전략

부산 지역 호텔업계에 따르면 최근 관광지로 뜨는 중·동·서·영도구 등 원도심 일대에 향후 공급될 호텔 객실이 1,800실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게 떠오르는 관광지인 오시리아(동부산) 관광 단지 또한 계획 중인 호텔 등 숙박업소의 규모가 4,600실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여름 대표 관광지인 해운대구 일대에 공급 예정인 호텔 객실도 약 3,400실에 이른다. 지난해 기준 부산 지역 호텔 객실 수가 이미 1만 1,050실임을 보면, 객실이 배로 늘어난 것이다.

부산 관광 수요가 는다면 객실 수 과잉에 따른 고민은 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부산을 찾는 관광객이 늘지 않을 경우 중소 규모 호텔은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다. 이에 맞게 수요를 증가시키기 위한 새로운 관광 정책이 나와야 한다.

하지만 부산시와 부산시민들의 생각은 상반된 것 같다. 부산시민들은 부산이 중장기적으로 육성해야 할 산업으로 ‘관광·마이스산업’을 1순위로 꼽는다. 그런데 이번 부산시 조직개편에서 문화관광국은 문화체육관광국으로 합쳐졌다. 기존 관광개발추진단, 관광진흥과, 관광산업과 3개 부서는 2개 부서로 축소한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후보 시절부터 “통합 개발되는 북항 일원에 2030 등록엑스포를 유치하고 해양 신사업을 시작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세계적인 스마트 마린시티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해양관광 분야에 대한 고민도 없고, 대규모 개발 사업을 동반하는 관광 인프라 확충에도 부정적인 분위기다.

시민들은 관광을 중요한 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반면, 부산시는 관광 산업의 중요성과 성장 가능성을 간과하고 있는 건 아닐까 우려스럽다.

관광의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할 때

부산시도 하반기 정책으로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고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관광 시장 다변화와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고는 했다. 동남아 관광 거점 마련을 위해 부산 관광 홍보사무소를 설치한다든지, 페이스북, 웨이보, 위챗 등 국가·도시별 대중적인 온라인 툴을 활용한 홍보도 강화를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은 수박 겉핥기식에 그칠 수밖에 없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문제가 해결될까?

부산의 관광은 일본 관광 시장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일본은 지리적으로 부산과 매우 가까운 곳이다. 올해 상반기(1~6월) 일본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한 1,589만여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일본 언론이 전했다. 연간 관광객 수도 지난해 2,869만 1,000명을 넘어선 3,000만 명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해 한국의 외국인 방문객 수가 1,334만여 명인 것을 감안하면 2배 이상의 규모다.

국제관광지냐 아니냐는 외국인 관광객 수를 보면 판가름이 난다. 국제관광지의 반열에 오르기 위해선 그에 걸맞은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

일본의 지방에서는 세계적인 프랜차이즈를 찾아보기 힘들다. 지방정부의 권한이 막강해 지역민의 권익을 위해 대기업 자본의 무분별한 침투를 막고 있다. 지역 특산품을 활용해 소규모로 가공 제조하는 지역주민의 생계를 방어하고, 지역마다의 독특한 특색을 부각해 차별화하고 있다. 그 경쟁력을 발판으로 지방 곳곳을 관광의 ‘뉴프런티어’로 삼아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방경제도 살리겠다는 게 일본의 관광 정책이다. 일본은 일회성 방문이 아닌 지속적인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정책으로 관광 자원이 곳곳에 있는 셈이다.

관광객들은 부산 하면 떠오르는 것이 ‘먹거리’ ‘확 트인 바다’ ‘젊음의 도시’라고 한다. 일본의 소도시들 못지않게 유명한 특산품들이 많다. 부산어묵, 돼지국밥, 밀면 등 충분히 차별화 할 수 있는 것들이 넘친다.

민선7기 부산시는 관광을 뒷전으로 넘기지 말고 넘쳐나는 부산의 특산물과 볼거리를 살려 스쳐가는 관광지가 아닌 머무르는 관광이 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황정윤 기자 hjy@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