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참여로 지킨 장항습지, 국제 협력으로 확산해야”
표진수 기자 pjs@newsone.co.kr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제15차 람사르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 참석하기 위해 짐바브웨를 방문한 가운데, 세계적인 개발기구들과의 연쇄 회동을 통해 장항습지의 보전 경험을 공유하고 국제협력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24일(현지시간), 이 시장은 총회장 내 유엔개발계획(UNDP) 부스를 찾아 짐바브웨 생물다양성 보전 사례를 청취한 뒤, 고양시의 생태정책을 소개했다. 이 시장은 “장항습지는 시민 자발성에 기반해 보전된 세계적으로 드문 도심형 람사르 습지”라며, “UNDP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고양의 사례가 글로벌 생태정책의 모범으로 자리 잡길 바란다”고 말했다.
UNDP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위해 환경, 에너지, 생물다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유엔 산하 조직이다.
이 시장은 같은 날 아시아개발은행(ADB)의 던컨 랭 선임환경전문가와도 만나 장항습지를 매개로 한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던컨 랭 전문가는 “지난해 ADB 관계자들이 장항습지를 직접 방문해 고양시의 생태보전 노력을 현장에서 체감했다”며, “현재 ADB는 철새이동경로(EAAFP) 파트너십과 함께 생물다양성과 습지 보전을 위한 활동을 활발히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이 시장은 “고양시는 도시개발과 생태보전을 병행하는 전략 속에서 시민 참여를 핵심 동력으로 삼고 있다”며, “이러한 경험이 개발도상국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ADB와의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응답했다.
ADB는 1966년 설립된 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발도상국 지원을 위한 국제금융기구로,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자연보전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이 시장은 짐바브웨 국영방송 ZBC와 현지 유력 일간지인 헤럴드와의 인터뷰를 통해 장항습지의 향후 관리방향과 생태교육 전략도 소개했다. 그는 “장항습지는 시민들이 직접 지켜온 습지로, 앞으로도 자발적 참여를 적극 뒷받침하겠다”며, “작년 개관한 장항습지생태관을 중심으로 생태 가치에 대한 교육과 인식 제고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의 이번 행보는 시민참여형 생태정책을 국제무대에 소개하고, 습지 보전 분야에서 고양시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넓히는 계기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