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인이 별천지 하동을 선호하는 까닭은?
이명이 기자 lmy@newsone.co.kr
하동군의 귀농·귀촌 정책이 빛을 발하고 있다. 올 11월 말 기준 1235세대 1514명이 별천지 하동으로 귀농·귀촌했다.
2021년 1223명, 2022년 1118명으로 최근 3년 동안 매년 1000명이 넘는 귀농·귀촌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이처럼 귀농·귀촌 인구가 꾸준히 이어지고 정착하는 배경에는 체계적인 지원과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한 파격적인 정책이 있었다.
최근에는 귀촌인구와 1인 세대, 60대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귀농·귀촌 패러다임을 바꿨다. 귀농인에게만 한정됐던 사업을 귀촌․귀향인까지 포함하고 가족 1인 이상 동반 전입 조건을 폐지했으며 사업대상 연령도 만 70세로 상향 조정했다.
우수한 자연환경과 더불어 다양한 지원정책으로 귀농·귀촌하기 좋은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어, 2024년에는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시책을 마련하고 더 많은 지원을 위해 기존 사업의 사업량을 확대 시행한다.
◇ 귀농·귀촌 정보제공 및 상담기능 강화 = 귀농·귀촌 준비에서 정착까지 전 과정을 꼼꼼히 지원하기 위해 귀농귀촌지원센터 기능을 양적·질적으로 확대하고 귀농·귀촌 정보제공을 위해 플랫폼을 다양하게 마련했다.
광평리에 있는 너뱅이꿈 건물을 리모델링해 쾌적한 환경에서 상담받고 필요한 교육과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확보했다.
농촌생활 전반에 관한 현장감 있는 전문 상담을 위해 16명의 귀농헬퍼를 구성해 1대 1 멘토링 사업을 추진하고, 11월에는 귀농·귀촌인 사후관리 컨설팅 및 현장상담을 위해 현장상담사를 채용했다.
그리고 귀농·귀촌 박람회에 4회 참가해 도시민에게 맞춤형 상담 및 시책을 안내함은 물론 귀농인이 직접 생산한 농․특산물을 홍보하고 판매해 귀농 정착 농가의 소득 증대에 이바지하는 등 귀농·귀촌 유치 활성화에 노력했다.
또한 지난 10월에는 귀농·귀촌인의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귀농귀촌지원센터 카카오톡을 운영해 현재 구독 친구수가 817명에 이른다.
귀농·귀촌인끼리의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단체 오픈 카톡방을 개설해 188명의 참가자와 함께 귀농·귀촌 정보 및 하동군의 주요 행사나 홍보자료도 함께 제공해 하동군에 대한 다양한 정책을 소통하고 있다.
◇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지원시책 마련 = 귀농·귀촌인의 가장 큰 어려움인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2024년에는 귀농인의 집 조성사업, 주택수리비 지원사업, 귀농인 농업창업 및 주택구입 지원을 위한 융자사업 등 기존의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그리고 귀농·귀촌·귀향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정착장려금, 농지 임차비, 주거 정착 비용의 부분적 해소를 돕기 위한 이사비 지원사업도 신규사업으로 시행한다.
읍면별 정주여건 확보를 위해 5호 이상 귀농·귀촌 주택단지 조성 시 호당 2000만원의 사회기반시설비를 지원해 민간투자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하승철 군수는 베이비부머 세대를 중심으로 한 농산어촌 지역으로의 인구 이동 흐름에 착안해 향우들을 대상으로 고향 U턴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고자 ‘귀향인 특별지원 조례’를 발의해 전국 최초로 제정했다.
이에 귀향인 대상 팜투어를 실시하고 귀농·귀촌 지원정책에 귀향인을 특별 우대하는 정책을 펼쳐 귀향 세대의 매력적인 인구 이동지로서의 우위를 선점하려고 준비 중이다.
또한 군은 귀농·귀촌인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보다 실효성 있는 귀농·귀촌 정책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보고 지난달 공개모집을 통해 지역민 및 귀농·귀촌인 10명과 공무원 2명 등 총 12명으로 귀농귀촌운영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귀농귀촌운영위원회는 귀농·귀촌 정책 사업을 발굴하고 제안하는 등 귀농·귀촌 전반에 대한 자문역할을 수행한다.
◇ 지역 밀착형 체험·교육 지원 확대 = 귀농·귀촌 희망자의 실행 부담을 덜어주고자 지역 밀착형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현장 실습 중심의 귀농교육 지원을 강화했다.
지역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3개월간 농촌에 머물며 미리 살아보는 ‘농촌에서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2회로 확대 편성해 진행했으며, 4박 5일 체류형 귀농귀촌사관학교를 운영해 하동군의 지원정책을 비롯해 귀농·귀촌 컨설팅, 선도농가 견학 등의 교육을 제공했다.
또한, 신규농업인과 청년농업인이 작물재배, 영농기술, 유통, 마케팅 등에 필요한 영농기술을 선도농가에서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신규농업인 현장실습 교육을 실시했다.
그리고 교육생을 대상으로 신규농업인 영농정착 간담회를 개최해 선도농가의 귀농 초기 경험담을 공유하고 신규농업인들이 새로운 다짐을 나누는 유익한 시간을 가졌다.
◇ 지역민과의 공동체 활동 지원 = 지역민과 귀농·귀촌인과의 문화적 인식 차이 등으로 갈등 요소가 상존함에 따라 지역민과의 다양한 공동체 활동 지원을 통해 농촌 생활의 이해를 도모하고 지속적인 관계형성의 장을 마련했다.
귀농·귀촌인 재능나눔 봉사단을 모집해 플리마켓 참여, 마을단위 융화사업 등을 통해 각자 보유한 재능을 지역민에게 나눌 수 있는 교류의 장을 만들어 줬다.
온라인에서도 활동이 가능하도록 행정안전부 공감e가득사업의 과제로 제출·채택돼 지난달 원데이클래스 앱이 출시됐다.
또한 귀농·귀촌 준비부터 실행·정착까지의 전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에피소드를 수기 공모해 우수사례를 시상하고, 우수사례 모음집 <하동에 스며들다>를 발간해 하동인으로서의 자긍심을 불어넣었다.
발간 책을 활용한 북 콘서트를 개최해 지역민과 귀농·귀촌인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기회를 제공했다.
그리고 지난달에는 귀농·귀촌인과 지역민 간 상생 발전과 화합을 위해 화합한마당을 개최했고, 군정발전과 주민화합에 헌신한 귀농·귀촌 분야의 숨은 공로자 2명을 발굴해 아름다운 귀농귀촌인상을 수여했다.
2024년에는 귀농·귀촌인 유치 및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노력한 마을을 선정해 시상하고 모범사례로 홍보하기 위해 귀농·귀촌 화합 선도마을을 선정해 지원할 계획이다.
하승철 군수는 “앞으로도 체계적이고 파격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지방소멸에 대응하겠다”며 “지역민과 귀농·귀촌·귀향인 모두가 함께 행복한 하동을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