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해 중국인 관광객(유커) 200만 명을 유치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16%포인트 높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를 위해 유커의 전자비자 발급 수수료를 면제하고, 면세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는 등 편의를 지원키로 했다. 이는 최근 중국 정부의 한국 단체관광 규제 해제를 활용해 내수를 진작하자는 취지다, 하지만 현재 국내 관광산업 인프라를 살펴보면 우려스러운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코로나19로 인해 호텔과 여행사 등이 구조 조정돼 갑자기 관광객이 몰려오면 응대할 수 있는 시설과 인력 부족 등으로 서비스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숙박업의 경우 코로나 팬데믹으로 폐업하거나 상업시설 등으로 용도 변경한 호텔이 많다. 이에 따라 현재 서울에서 공급 가능한 호텔은 최대 6만 실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서도 내국인 이용 예약 객실을 제외하고 나면 외국인이 이용할 수 있는 객실은 2만 5,000실 정도로 턱없이 부족하다는 우려다.
가이드와 관광버스는 더 심각하다고 한다. 여행사는 직원들을 대폭 줄였고, 전세버스 기사들도 대거 이직해 당장 구인난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제주도의 경우도 유커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과거의 관성에 벗어나지 못하면 오히려 득보다는 실이 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도내 업계에서는 우선 중국 아웃바운드 여행의 트렌드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중국이 단체관광에서 소규모 개별 자유관광으로, 40~50대 이상 중장년층에서 20대 MZ세대로 여행 트렌드가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에 부응한 여행상품 개발과 정책들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자유여행객들을 위한 통역가이드가 불법 체류자나 유학생, 무자격자 등이 설치면서 서비스질을 저하시키고 상거래 질서를 흐트러뜨리는 등 불법과 탈법을 부추기고 있다고 한다. 자격을 갖춘 관광통역안내사들이 투입돼 질서와 서비스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2016년 정점일 때 방한 유커는 800만 명에 육박했다. 한중 관계가 악화하지 않는 이상 내년부터 연간 300만 명 선을 무난하게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부와 업계는 양적인 목표에 집착할 게 아니라 관광산업 인프라를 복원하고 응대 서비스 개선에도 신경 써야 할 것이다.
전병열 기자 ctnewsone@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