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전통시장 청년몰, 지원 끝나면 줄줄이 폐업

전통시장 청년몰, 지원 끝나면 줄줄이 폐업

공유

 

전통시장 살리기와 청년실업,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통시장 청년창업지원사업이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 몸부림치는 젊은이들을 전통시장으로 유입시켜 청년에겐 기회를 전통시장엔 활력을 불어넣는 신선한 시도였지만, 살아남는 건 절반도 채 되지 않는 실정이다.

청년에게 창업기회를 주기 위해 생긴 ‘이화 스타트업 52번가’(일명 오이길) 22개 점포 중 폐업, 공사, 전포이전 등의 이유로 단 7곳만이 거리를 지키고 있었다. 오이길은 지난 2016년 예비 청년창업자에게 창업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이화여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함께하며 시작됐다. 학생들의 창업 열기로 낙후된 골목상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지난해 12월 지원기간이 만료되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공단은 계약기간에 따라 지원을 종료했고, 매장들은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다.

상황은 지방도 마찬가지다. 경남 진주 중앙시장 2층에 자리한 진주 청춘다락은 문을 연지 8개월 만에 14개 점포 중 5개 점포만이 남았고, 마산 창동의 청춘바보몰은 개점 1년 만에 모든 점포가 문을 닫았다.

지난해 4월에 문을 연 대전 태평시장의 ‘청년맛it길’도 오픈 1년 만에 10곳 중 7곳이 폐업했고, 그나마 남은 가게들도 하루하루 매출 걱정을 하면서 근근이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관광객들이 많이 모이는 부산 국제시장의 ‘왔나몰’도 8개월 만에 폐업 수순을 밟았다. 한때는 젊은 관광객들이 찾아들며 인기를 끌기도 했지만, 현재 국제시장 1공구 2층은 완전히 문을 닫은 상태다. ‘왔나몰’과 함께 나란히 문을 연 ‘609몰’ 역시 지원 사업이 끝날 예정이라 위기감이 도사리고 있다.

전통시장에 둥지를 튼 청년상인들은 폐업을 정해진 수순으로 인식하고 있다. 지원을 받아 창업했지만, 점포 운영 과정에서 느낀 지원사업의 구조적 한계를 느끼는 청년들이 많다. 창업 초기에 피할 수 없는 죽음의 계곡(death valley)은 너무나 험난해서 청년창업가에겐 이를 감당할 힘도 노하우도 없는데, 재정적 지원은 1년이면 끝난다.

청년몰에 도전했다가 폐업한 한 청년상인의 말에 따르면 개업한 뒤 3개월 동안은 어느 정도 손님이 모였지만, 이후 점차 발길이 뜸해졌다고 한다. 새로 생긴 상권에 대해 손님들의 호기심이 떨어지면 남은 것은 버티기뿐이다. 값을 내리고 메뉴를 늘리고, 영업시간을 늘여도 소용이 없다. 월 평균 150만 원이 채 안되기도 하고, 손실을 줄이기 위해 홀 손님을 받지 않고 배달 위주로 다녀도 피로만 쌓일 뿐이었다.

‘청년몰 조성 및 청년상인 육성’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전통시장 활성화와 청년일자리 보급을 위해 진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전통시장 내 문화‧쇼핑‧놀이 등 복합개념의 청년상인몰을 조성하기 위한 청년몰 사업은 현재까지 약 250억원의 예산이 책정됐으며, 전통시장 내 빈 점포에 청년상인이 입주하도록 점포당 1년간 최대 2,500만 원씩 약 156억 원을 지원한다.

전국적으로 청년상인 지원 점포는 400여 개가 순차적으로 문을 열었지만 이 중 100여 곳이 폐업했다. 줄 폐업 원인은 청년점포 개장에 급급한 단기 지원과 매출 급락 때문이다. 자립까지 이어져야 할 사후 지원이 겨우 몇 개월간에 그쳐 사업을 지속해나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기존 상인들도 청년상인들이 자립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아 말했다. 목 좋은 자리에서도 살아남기 힘든 게 장사인데, 이미 죽은 상권에서 청년들의 활기만 믿고 1년 만에 성과를 얻는 것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의견이다. 사전 교육은 진행하되 사후 관리 제도가 미비했다. 유동인구가 없는 곳에 상권을 만들려고 한 것 자체가 무리수다.

싼 임차료와 정부의 지원에도 살아남기 힘든 냉혹한 세계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아 성공 신화를 써 내려가는 청년 상인들도 있다.

청년몰의 롤모델인 전주남부시장 하늘정원의 청년몰은 ‘하늘그리기 다시 그리기 공모 워크숍’ 등 참신한 아이디어로 재단장 준비를 하고 있다. 전주 한옥마을 바로 옆에 위치해 꾸준히 방문객들이 있는 편이며, 시장 상인들과 상생이 잘 이뤄지는 것도 성공 요인 중 하나다.

젊은 층에서 입소문만 나면 전통시장이라는 입지는 중요하지 않을 것이라며 도전을 멈추지 않는 청년 상인도 있는가 하면, 대형 프랜차이즈가 따라올 수 없는 빠른 속도와 차별화를 내세워 독특한 아이템으로 손님들의 입맛을 사로잡은 경우도 있다.

현재 청년상인 육성사업별 교육지원은 20시간 남짓한 기초 교육시간만 채우면 창업이 가능하고, 각 지역의 특성 및 전통시장의 특색과는 상관없는 술집 등이 대부분이다.

기존 상인들과의 관계가 원만해야하고 적극성과 인내심이 필요한 전통시장 청년몰 사업은 청년 상인들이 단기적인 준비로 시작할 문제가 아니다. 임차료와 리모델링 지원 정도에 그치는 현재의 지원정책을 자금과 교육, 기관별로 다각화해 지속적인 관리를 모색해야 할 때다.

오진선 기자 sumaurora@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