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전시, 국내 최초 합성생물학 기반 글로벌 혁신특구 본격 운영

대전시, 국내 최초 합성생물학 기반 글로벌 혁신특구 본격 운영

공유

첨단 바이오제조 전진기지로 도약…규제 넘어 세계로

전병군 기자 jbg@newsone.co.kr

대전시가 국내 최초로 합성생물학 기반의 ‘첨단 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되며, 오는 6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이번 특구는 규제 완화와 글로벌 진출을 결합한 새로운 신산업 실증 모델로, 대전시가 미래 바이오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이번 지정은 지난해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를 통해 후보지로 선정된 이후 관계부처 협의, 공청회, 심의위원회 절차를 거쳐 21일 확정됐다. 시는 총사업비 272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9년 12월까지 4년 7개월간 사업을 추진하며, 성과에 따라 최장 2031년까지 연장 운영될 수 있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한 제도로, 첨단 분야의 신기술 실증과 해외시장 진출을 중점 지원한다. 특히 이번 대전 특구는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합성생물학은 유전자, 단백질 등을 인공적으로 설계·제작해 바이오 제품을 대량·고속 생산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다.

대전시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기 전인 2026년보다 앞서, 기술 실증과 사업화를 선제적으로 추진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AIST, 대전테크노파크 등 지역 내 바이오 전문기관들이 특구 운영에 참여해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바이오파운드리 베타시설을 활용해 유전자변형생물체(LMO) 후보물질의 발굴과 성능 최적화를 지원하고, KAIST는 공공 LMO 생산시설을 통해 mRNA·DNA 기반 신제품의 실증과 소량 생산을 지원한다. 대전테크노파크는 규제자유특구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실증과 사업화 과정을 전방위적으로 뒷받침한다.

시는 또한, LMO에 대한 위해성 중복 심사 절차를 간소화해 기업의 행정적 부담을 줄이고, 맞춤형 R&D 지원을 통해 신속한 기술 상용화를 돕는다.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전략으로는 싱가포르 국립대학과의 공동연구, 국제 인증기관과의 협력을 통한 기술 검증 및 제품 인증 컨설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번 특구 운영을 통해 약 1,600억 원 규모의 생산 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의약품, 식품, 농축산,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의 기술 확산과 함께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특구 지정은 대전이 미래 바이오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기업이 자유롭게 기술을 실증하고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와 맞춤형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