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 10:00 대저생태공원 경관농업 단지 일대(19,200 제곱미터(㎡))에서 ▲스마트자율 트랙터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임무형 드론 시스템을 활용한 정밀 파종 시연행사 개최
기존 수작업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정밀도와 효율성 향상 ▲스마트 농업기술 실증 기반 마련 기대
부산시 농업기술센터(이하 센터)는 오는 5월 14일 오전 10시 대저생태공원 경관농업단지 내 1만 9천2백 제곱미터(㎡)에서 무인 자율 스마트 농업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파종 시연 행사(이하 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이번 행사는 ▲4단계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자율 트랙터’와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임무형 드론 시스템’을 동시에 투입해, 첨단 기술을 적용한 정밀 파종 방식을 현장에서 실증하는 자리다.
○ 기존의 유채 등 경관 작물 파종은 로터리 작업*과 같은 재래식 방식으로 진행돼 ▲정밀도에 한계가 있었고, ▲노동력의 부담이 크고 작업시간 많이 소요됐으며, ▲파종 균일성과 경관 품질 효율성도 낮은 단점들이 있었다.
* 로터리 작업: 트랙터에 회전형 날(로터리)을 부착해 토양을 고르게 갈아엎는 작업
□ 이번 행사는 민간 기술 협력 방식의 시범운영 차원으로 시행되며, ▲4단계 자율주행 기능을 갖춘 스마트 자율 트랙터 ▲인공지능(AI) 기반 임무 설계 드론 시스템을 활용한 정밀 파종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스마트 자율 트랙터’는 실시간 이동 측위(RTK)*에 기반한 위치정밀도 플러스마이너스(±) 2센티미터(cm) 수준**의 자율주행 장비로, 토양 수분과 지면 상태를 실시간 분석해 최적 경로를 자동 설정하고 균일한 작업이 가능하다.
* 실시간 이동 측위(RTK): 위성 기반의 위치보정 기술로, 고정밀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함
** 위치정밀도 플러스마이너스(±) 2센티미터(cm) 수준: 자율주행 장비가 움직일 때 위치 오차가 거의 없는 정도의 수준, 100미터(m)를 움직여도 사람이 줄자를 들고 측정한 것처럼 거의 정확하게 직선으로 이동하는 수준
○ ‘자율 임무형 드론 시스템’은 인공지능(AI) 기반 비행계획을 통해 자율 임무를 수행하며, ▲복귀 자동화 ▲기상 반응 기능 ▲도크 스테이션***자동 충전 시스템을 갖춘 최신형 항공 파종 장비다.
*** 도크 스테이션: 드론의 자동 착륙·충전·보관이 가능한 기지국 형태의 시스템
○ 시는 이번 스마트 농업 기술 도입을 통해 ▲작업시간 단축 ▲현장 인력 부담 경감 ▲정밀 파종을 통한 경관 품질 향상 ▲스마트 농업기술 실증 등 다양한 장점들을 기대하고 있다.
□ 유미복 시 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이번 「스마트 파종 시연 행사」는 첨단 농업기술이 실제 도시 경관에 적용되는 대표 사례로, 기술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형 경관농업의 전환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기술 실증과 적용을 통해 도시농업의 혁신과 확산을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