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마리나 산업 및 해양레저관광 발전을 위한 ‘2018 마리나 정책 포럼’ 개최

마리나 산업 및 해양레저관광 발전을 위한 ‘2018 마리나 정책 포럼’ 개최

공유
▲2018 마리나 정책 포럼

지난 6월 27일 세종시 르호봇 세종 비즈니스 센터에서 ‘2018 마리나 정책 포럼’이 열렸다.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에서는 마리나 산업 및 해양레저관광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분야의 의견을 수렴하고, 마리나 정책이나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하고자 매년 마리나 정책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해수부 조직개편으로 마리나 산업과 마리나 시설 업무가 통합(마리나항만 개발업무를 해양레저관광과로 이관해 산업 육성과 연계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일관된 마리나 산업 활성화 추진체계 마련)됨에 따라, 관련 지자체·사업 종사자 등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부 마리나 정책방향 등의 정보를 공유하고자 자리를 마련했다.

이번 포럼에는 해수부 해양레저관광과장 및 업무담당자, 각 지자체 마리나 및 해양관광 업무 담당자, 한국마리나협회, 대한마리나진흥회,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마리나 산업 관련 업체 및 종사자 등이 참석했다.

임지현 해양레저관광과장의 인사말로 시작된 포럼은 홍성현 사무관의 마리나 정책 방향 소개로 이어졌다. 홍 사무관은 “마리나 산업은 높은 고용창출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진 미래 신성장동력 산업”이라고 전하며 마리나항만의 선도적인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그는 제2차 마리나항만 기본계획 수립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마리나항만 개발사업 발전전략으로 거점형 마리나항만 개발, 내수면마리나 활성화 등을 들며 마리나 사업추진 체계를 발표했다.

▲공민 보팅저널 대표의 주제발표

이후 주제발표시간이 이어졌다. 먼저, 공민 보팅저널 대표가 ‘해양산업의 미래’라는 주제로 해양산업의 비전과 방향을 전했다. 그는 “국내 해양산업은 도입기, 개척기, 과도기, 정체기, 관망기를 거쳐 현재 신개척기에 이르렀다”며 “마리나 산업 역시 기존의 단순한 계류 시스템에서 라이프스타일의 빌리지 복합형 마리나시설로 변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해양산업의 비전과 과제로 “세계 최고 수준의 조선산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양산업의 잠재적 가치 향상과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파급효과를 기대한다”면서 보트쇼, 해양산업단지 조성, 마리나시설 확충,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전문인력 양성), 해양레저 체험행사 대회 개최(국제, 국내), 전문 컨퍼런스 개최 등으로 해양레저산업의 부흥을 이끌어야 하며 정부 관련기관, 학회, 단체 전문가 그룹들의 지속적인 관계 및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건태 요트북 대표의 주제발표

이후 김건태 요트북 대표가 ‘사용자 관점에서 본 마리나 활성화의 조건’이라는 주제발표를 이어갔다. 그는 공익시설 인프라를 위한 마리나 활성화 방향에 대해 설명하며 먼저 국내 마리나의 문제를 지적했다. 기존 인프라 조성 방식에 있어 관료적 형태의 조사로 주변 환경에 대한 연구 부족, 계류장 운영과 판매, 수리업, 상업시설(식음료, 휴게시설)에 따른 1차적 수익에 편중된 구조, 부유층만을 위한 서비스라는 마리나 산업에 대한 시민들의 부정적인 인식 등을 국내 마리나의 문제점으로 들었다. 이어 세계 마리나 산업 모델링을 위해 해외의 시티형마리나, 공원형마리나, 융복합형마리나, 리조트형마리나를 설명하고 두바이 크릭 마리나 요트클럽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그는 마리나 활성화 조건으로, 공공인프라 비즈니스 모델 구축, 다양한 콘텐츠 구축, 시스템의 고도화, 글로벌 마케팅, 정책적 마리나 지원 등을 들었다.

주제발표 후에는 토론 및 질의 응답시간이 이어졌다. 마리나 산업에 대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이 오갔으며, ‘2018 마리나 정책 포럼’은 참가자 기념촬영을 끝으로 성료됐다.

해수부는 이번 포럼에서 나온 애로사항, 법·제도개선사항 등 지자체 및 사업 종사자의 의견을 청취해 향후 마리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고경희 기자 ggh@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