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시민 문화권리 보장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필요성 논의

시민 문화권리 보장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강화 필요성 논의

공유

문화강국네트워크 제5차 국회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이명이 기자 lmy@newsone.co.kr

‘문화강국네트워크 제5차 국회 정책토론회’가 3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실에서 열렸다. ‘자연지능 VS 인공지능 시대, 시민 창작가의 등장’을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강화하는 문화정책의 필요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김교흥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준혁, 이기헌, 임오경 의원이 공동 주최했으며, 문화강국네트워크와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가 주관했다.

기조발표를 맡은 최도인 메타기획컨설팅 본부장은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주체적으로 탐색하고 다양한 타인과 연결하며 삶의 이야기를 창조할 수 있는 기반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문화정책의 핵심 목표”라고 강조하며, 시민 개개인의 문화적 권리와 창의적 에너지가 발현될 수 있는 ‘나로부터 시작되는 문화정책’을 제시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자인 김아미 박사는 “디지털 환경과 AI 기술을 인간 중심적으로 설계해 시민 간 공동체 의식과 정서적 유대를 강화해야 한다”며, 시민 대상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공감 능력을 키울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허경 정책센터장은 “문화체육관광부는 기존 자원과 경험을 활용해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고, 민-관 협력과 관-관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윤광식 성동문화재단 이사장은 시민과 기업의 창의성이 도시의 창의성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하며, 능동적 협력자로서 시민과 함께 창의적 문화도시를 만들어 가는 사례를 소개했다.

노희섭 보헤미안로보틱스 부대표는 AI 활용 시 비판적 시각을 포함한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김정선 한국문화교육학회 이사는 기초 예술의 중요성과 AI가 대체할 수 없는 예술 이해를 높이는 교육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송경진 이화사회과학원 연구원은 전국 공공도서관과 지역 미디어센터를 활용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확대 방안을 제안하며, 지역 내 시설과 기관과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화강국네트워크 이우종 이사장은 “급격한 변화 속에서 국민이 정보와 지식에 차별 없이 접근하고 상호 이해와 공감을 키우는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했다”며, 정부와 국회, 민간이 함께 정책 과제를 추진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2025년 9월 3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간담회실에서 개최되었으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교흥 위원장과 김준혁, 이기헌, 임오경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문화강국네트워크와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가 주관했다.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는 시민과 공동체가 직접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사회적 소통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현재 전국 50여 개 미디어센터와 협력하고 있다. 이 중 44개 센터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센터의 공동 발전과 민주적 소통, 문화적 삶 증진을 위해 다양한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웹사이트: http://krmedi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