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방소멸 대응 위해 손잡은 연구기관과 지방정부

지방소멸 대응 위해 손잡은 연구기관과 지방정부

공유

한국지방행정연구원·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특별세미나 및 업무협약 체결

전병열 기자 ctnewsone@naver.com

한국지방행정연구원-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방소멸대응전략 특별세미나를 개최했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원장 육동일)과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회장 조재구)는 7월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지방소멸대응 전략 특별세미나’를 열고,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법을 모색했다. 이 자리에서는 양 기관 간 업무협약도 함께 진행돼 향후 공동연구와 학술행사 등을 통해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민선 30주년 맞아 지방위기 논의의 장 마련
이번 세미나는 민선 지방자치 30주년을 기념해 마련됐으며, 인구감소로 위기에 처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공유하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뒀다. 협약식 직후 진행된 세미나는 두 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으로 구성돼 깊이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첫 번째 발표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인구감소지역대응센터 이원도 부연구위원이 맡아 ‘지역 인구감소 위기 대응을 위한 맞춤형 생활인구 활성화’를 주제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구정태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선임전문위원이 ‘89개 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방자치단체의 대응 과제’를 발표하며 현장 경험과 정책적 해법을 공유했다.

다양한 전문가 참여한 심도 있는 토론
종합 토론은 한국지방자치학회 임정빈 회장이 좌장을 맡고, 강국진 서울신문 기자, 김상민 충남대 교수, 한용덕 행정안전부 서기관, 이상범 협의회 정책연구실장, 최충익 강원대 교수 등이 참여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참석자들은 청년 유출, 지역 소멸, 수도권 집중 문제를 지적하며, 현실성 있는 정책 설계와 실행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치권과 기관장, ‘종합적 대응’ 한목소리
세미나에 함께한 김형동 국회의원은 “청년 인구 유출이 지방소멸의 주요 원인”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실천 가능한 정책과 제도 개선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원택 의원은 “지방소멸 위기 대응에는 중앙정부와 국회, 지자체의 종합적이고 실질적인 대응이 필수”라며 “청년 정착과 지역 일자리 창출, 출산·보육 인프라 확충 등 과감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재구 협의회장은 “지방의 청년 유출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기초자치단체장의 책임은 막중하다”며 “지역주민의 삶을 지키고 지역사회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사명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육동일 연구원장은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은 우리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되는 구조적 위기”라며 “이번 세미나가 실질적 대응 방안을 도출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지방자치 발전의 중추,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편,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1984년 설립된 지방자치 전문 연구기관으로, 정책 개발, 제도 설계, 자치단체 자문과 경영진단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동안 수많은 연구 활동을 통해 자치분권과 균형발전에 이바지하며, 지방행정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다. 웹사이트: http://www.krila.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