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HMM 이전·해사법원 유치·동남투자은행 설립 등 압축적·동시다발 추진
“해양수도권 구축으로 동남권 새 성장엔진 만들겠다”
전병열 기자 ctnewsone@naver.com

전재수 신임 해양수산부 장관이 7월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을 통해 공식 임기를 시작한 가운데,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핵심 과제들을 연내에 동시다발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전 장관은 이날 첫 기자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해양수도 부산 공약은 단순한 지방 분산 정책이 아닌 국가 균형발전과 미래 성장전략의 핵심”이라며 “해수부 이전, HMM 본사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설립 등 4대 과제를 압축적으로,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해수부의 연내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한반도 동남권에 해양수도권을 만들자는 구상”이라며 “부울경 지역의 항만·해운·조선·인재 인프라에 행정·사법·금융 기능까지 집적시켜 시너지를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극항로 개척 등 새로운 바닷길이 열릴 미래를 준비하는 데 해수부가 부산으로 내려가는 것이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해수부의 기능 강화에 대해서도 의지를 드러냈다. 전 장관은 “해양정책과 산업정책의 시너지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해수부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산업부에서 10명이 하던 일을 해수부에서는 10배, 100배 성과로 바꿔낼 수 있다”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된 ‘해수부 부산 이전이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주장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박했다. 그는 “선거 때문에 중앙정부를 옮긴다는 건 정신 나간 소리”라며 “이전은 대통령의 결단에 따른 것으로, 남겨진 과제들은 저의 몫일 뿐 선거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해수부 복수 차관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기후위기와 식량안보 등 복합 위기를 고려할 때 수산 분야 전담 차관이 필요하다”며 “국무회의 등 정부 내에서 강하게 주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산청 신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각 부처마다 청을 만드는 것이 국가재정에 어떤 부담을 줄지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한편,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위한 준비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는 장관 취임 전날인 23일 김성범 해수부 차관과 1차 정책협의회를 개최해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박형준 부산시장도 초당적 협력을 약속한 상태다. 전 장관은 “이사 지원 등 직원들의 정주 여건 마련과 관련한 선례를 모으고 있으며, 관련 내용을 조만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