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울산시, 산업부 ‘기회발전특구 인력양성’ 2차 공모 선정… 국비 총 5억 4천만원 확보

울산시, 산업부 ‘기회발전특구 인력양성’ 2차 공모 선정… 국비 총 5억 4천만원 확보

공유

특구 내 5개 기업과 손잡고 맞춤형 교육… 860명 인재 양성

이근대 기자 lgd@newsone.co.kr

울산시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2025년 기회발전특구 수요맞춤형 인력양성사업’ 2차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지역 기업을 위한 맞춤형 인재 양성 기반이 더욱 탄탄해질 전망이다.

시는 이번 2차 선정으로 국비 1억 9,000만 원을 확보했으며, 지난 3월 1차 공모(국비 3억 5,000만 원)에 이은 성과다. 총 8억 1,000만 원(국비 5억 4,000만 원·시비 2억 7,0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재직자 620명과 신규 인력 240명 등 총 860명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세 개 지구 내 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1차 선정(3월): 현대자동차·LS MnM(이차전지), S-OIL(주력산업 첨단화)
2차 선정(4월): SK가스·코리아에너지터미널(친환경 에너지)

울산시는 기업의 사전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전기차 핵심부품 이해 ▲에너지 관리 기초 ▲신재생에너지 기술 ▲화재·소방 안전관리 등 직무별 특화 교육과정을 편성했다. 특히 채용계획과 연계한 신규 인력 과정을 포함해, 교육 후 산업 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회발전특구 내 투자기업들이 숙련 인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지역 고용 확대와 지속가능한 산업 기반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기회발전특구 기업이 울산에 뿌리내리고 성장하려면 무엇보다도 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기업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사업을 지속 추진해 지역경제의 성장과 균형발전에 보탬이 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회발전특구는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지방정부가 특구를 자율 설계하고 중앙정부가 세제·규제 특례 등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울산시는 지난해, 총 420만㎡ 규모의 3개 산업지구를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받으며 대규모 투자의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