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NS 정치 이대로 좋은가

[전병열 칼럼] SNS 정치 이대로 좋은가

공유

“시민 또한 공유코자 하는 정보는 사실에 근거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 출처가 불명확한 정보는 가짜뉴스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병열 편집인

SNS를 통한 사적인 표현이 정치적인 논란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인의 의사를 자유롭게 지인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욕구는 누구나 가질 수 있다. 다만 SNS는 중간 매개체로 인터넷망을 이용한다는 것과 전달 및 확산 속도 · 전파 범위가 다른 매체보다 빠르고 넓다는 것이다. 물론 그에 따른 파급효과는 훨씬 클 수 있다.

현대 사회는 SNS를 통해 편리하게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모바일 시스템까지 구축돼 있다. 심지어 SNS를 모르면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소외되고 소위 ‘꼰대’ 취급을 받게 된다. SNS 문화는 급속도로 진화해 일상생활화되고 있다. 모든 정보를 SNS를 통해 습득하고 소비한다. 기성 미디어들의 존재감을 위협할 정도로 SNS 의존도는 폭증하고 있는 추세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웹상에서 친구·선후배·동료 등 지인(知人)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키고 또 새로운 인맥을 쌓으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인터넷에서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라 할 수 있다.

개인의 표현 욕구가 강해지면서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하고, 친분관계를 유지시키는 SNS는 점점 발달하고 있다. 웹상의 카페·동호회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가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가진 집단이 그룹화해 폐쇄적인 서비스를 공유한다면 SNS는 나 자신, 즉 개인이 중심이 되어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초기에는 지인들 간에 주로 친목 도모나 엔터테인먼트 용도로 이용되었지만, 새로운 정보들이 공유되면서 비즈니스나 미디어로 활용되고 있다. SNS에서 이뤄진 정보의 수집과 확산은 정치적인 세력으로 조직화하는 촉매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정치인에게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같은 SNS는 필수인 시대가 됐다. 자신의 정치적 주장을 알리고 지지층을 결집하는 유용한 수단인 것만은 사실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가장 SNS를 잘 활용하는 정치인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도 대부분의 정치인이 SNS를 통해 지지자들과 소통하고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고자 한다.

SNS는 표현의 자유에 의해 보호받기도 하지만, 선거법에 의해 규제를 받기도 했다. 그러다 2011년 헌법재판소가 한정위헌판결을 내리면서 2012년 4월 총선에서 SNS를 통한 선거운동이 활발해졌으며, 이후 정치인들의 소통 수단으로 애용되고 있다. 그런데 ‘오프라인 소통’과 병행하지 않고 오직 SNS로만 소통할 경우 오히려 여론 조작에 휘말릴 수도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올린 글이 비난을 받기도 하고 진영논리로 지지를 받기도 하는 경우다.

최근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과 3선 의원 출신인 유인태 전 의원은 지난 2일 방송에 출연해 “평검사가 조금 (비판)했다고 해서 장관이 SNS에 그런 글을 올리는 것은 경박한 짓”이라고 지적했다. 원조 친 노무현 인사로 꼽히는 그는 “SNS 중독자들은 (SNS에) 시간 분초를 다투더라”며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사람들은 제발 SNS 활동을 좀 중단했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이환우 제주지검 검사가 ‘검찰 개혁은 근본부터 잘못됐다’는 글을 내부 통신망에 올리자 추미애 법무장관은 곧바로 SNS에 “좋습니다. 이렇게 커밍아웃해 주시면 개혁만이 답입니다”라고 올렸다. ‘보복’을 시사하는 의미로 읽히자 평검사 300여 명이 이 검사를 응원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되고 있다.

공직자가 직무와 관련된 사안을 SNS를 통해 유포하는 것은 절차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사례다. 개인 의사를 밝힌 것이라고 항변할 수도 있지만, 공인의 표현은 당연히 사회적 책임이 수반될 수 있다. 일부 정치인이나 지지자들의 SNS를 보면 온통 ‘갈라치기’를 일삼는 진영논리로 점철돼 있다. 심지어 ‘가짜뉴스’로 상대 진영을 무차별 집단 공격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SNS 문화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서는 오피니언 리더의 검증되고 절제된 용어와 이성적 표현이 요구된다. 시민 또한 공유코자 하는 정보는 사실에 근거한 내용을 전달해야 한다. 출처가 불명확한 정보는 가짜뉴스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모바일 시대의 SNS 정치는 화합의 이기(利器)가 되기도 하지만, 갈등의 무기(武器)가 되기도 한다.

chairman@news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