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대전, 우주산업 전략기지로 도약해야”… 국회서 정책 토론회 개최

“대전, 우주산업 전략기지로 도약해야”… 국회서 정책 토론회 개최

공유

연구개발본부 신설 필요성·정책 거버넌스 재정립 등 산학연 60명 심도 논의

전병군 기자 jbg@newsone.co.kr

대전시가 우주산업 클러스터 연구개발 특화지구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기지로 도약하기 위한 움직임에 나섰다.

대전시는 14일 국회 제9간담회실에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이주희 의원, 박범계·조승래·장철민·박용갑·박정현·장종태 의원과 공동으로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 설치와 우주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우주항공청 연구개발본부는 우주항공기술 연구개발 사업을 전담할 조직으로, 연구기관과의 협업 효율을 높이고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 연구자들이 설치 필요성을 지속 제기해 왔다. 지난해 9월 황정아 의원이 이를 위한 우주항공청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현재 상임위 심사가 진행 중이다.

토론회에는 국회의원과 우주항공청, 연구기관, 대학, 산업체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허환일 충남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양준석 대전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우주항공청 연구개발 기능 제고를 위한 입지 제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사공영보 솔탑 대표(대전뉴스페이스발전협의회장), 윤효상 카이스트 교수, 신의섭 전북대 교수, 이문식 전자통신연구원 본부장, 이재형 우주항공청 기획조정관, 장길수 대전과학산업진흥원 부장 등이 참여해 연구개발본부 신설의 필요성과 정책 거버넌스 재정립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다부처·다기관 사업 조정 기능 강화, 체계적 연구개발 관리 필요성에 공감대를 이뤘다.

또한 우주항공기술이 국가 전략자산이자 융합연구가 필수적인 첨단 분야인 만큼, 지난 50년간 국가적 역량이 축적된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개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아울러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유치 등 산업 생태계 확장 전략도 함께 논의됐다.

황정아 의원은 “우주개발의 핵심은 사람과 협력 생태계이며, 그 중심에 대전이 있다”며 “연구개발본부 설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정부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대전은 세계적 연구개발 인프라와 전문 인력을 갖춘 도시”라며 “우주항공산업의 전략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 지역 산학연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